배경

  • 하둡의 서브 프로젝트중의 하나로 탄생했다.
  • 대용량 분산 처리 애플리케이션인 하둡은 중앙에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코디네이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했기 때문에 서브 프로젝트로 주키퍼 개발을 진행했었다.
  • 2011년 1월 하둡 서브 프로젝트 → 아파치의 탑 레벨 프로젝트로 승격한다. (wow)
  • storm, hbase, NiFi 등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중이다.

소개

  • 구성 정보를 유지 관리하고 이름을 지정하여 분산 동기화를 제공하고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집중식 서비스
    • 분산 코디네이터
  • 분산 시스템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
    • 네트워크의 신뢰성
    • 지연
    • 대역폭
    • 안정성
    • 토폴로지
    • 전송 비용
    • 네트워크 유형
  • 분산 서버들 간의 정보 공유, 동기화 분산 서버들의 상태 확인 또한 필요하다.
  • 역할
    • 그룹 멤버십
    • 잠금 제어
    • 구독/배포
    • 리더 선정
    • 동기화

카프카를 위한 주키퍼

데이터 모델

  • 데이터를 디렉토리 구조로 저장하고, 데이터가 변경되면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노드가 변경되었는지 콜백을 통해서 알려준다.
  • 클러스터 구성원 간의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(중앙화된 분산 코디네이터 클러스터).
  • 데이터 스토리지(영속/임시 데이터), 클러스터 멤버십 관리를 통한 데이터 변경 통지(watch), 마스터 및 분산 락 등에 활용되는 시퀀스 노드 등을 제공한다.

노드

  • persistent(영속) node
    • 한번 저장되고 나면 세션이 종료되어도 삭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노드
    • 명시적으로 삭제하지 않는 한 해당 데이터는 삭제 및 변경되지 않는다.
  • ephemeral(임시) node
    • 특정 노드를 생성한 세션이 유효한 동안 데이터가 유효한 노드
    • 주키퍼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특정 노드를 emphermeral node로 생성했다면 세션이 끊어질 때 해당 노드는 자동으로 삭제된다.
    • 클라이언트가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쉽게 판단 가능하다.
  • sequence(순서) node
    • 노드 생성 시 sequence number가 자동으로 붙는 노드
    • 이 기능을 활용하여 분산 락 등을 구현할 수 있다

Watcher

  • 주키퍼 클라이언트가 특정 znode에 watch를 걸어놓을 경우 해당 znode가 변경되었을 때 클라이언트로 콜백 호출을 날려 해당 클라이언트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.

znode

  • 주키퍼가 제공해주는 파일시스템에 저장되는 파일 하나를 znode라고 한다.
  • unix의 파일시스템처럼 node간에 hierarchy namespace를 가진다.
  • /(슬래시)를 사용
  • 기존 파일 시스템과 다르게 주키퍼는 file과 directory의 개념이 없어 znode하나만 쓰인다.

+ Recent posts